[2007 독일 그리스 여행기 목차]
베를린 (Berlin) 3일째 되는날, 구름이 조금 낀 하늘이긴 하지만, 비도 오지 않고 하늘도 푸르고 햇빛이 쨍쨍한 좋은 날입니다. 해가 비치는 베를린을 아침부터 즐길 수 있었지요. ^^;; 그래도 완전히 해가 쨍쨍한 날은 아니었고, 짙은 구름이 쏜살같이 지나가는 날씨였습니다. 올해 8월 초 서울 날씨와 비슷했다고 할까요? 짙은 구름이 하늘을 가렸다가, 어느 순간 가랑비가 내립니다. 비를 피하려 건물 밑으로 재빨리 도망가면, 어느새 진한 햇살이 도로를 비추더라구요.
위 구글어쓰 지도에서 보는 것 처럼, 브란덴부르크 문(Brandenburger Tor)을 보고, 제국의회의사당 (Reichstag)을 본 다음, 유대인 학살 기억 조형물 (The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 까지 들렸습니다. 그 다음에는 페르가몬 박물관 (Pergamonmuseum)을 보기 위해 택시를 타구 갔구요.
잠깐 비교해 보면,
이렇게 구경 잘 하고, 다음 목적지인 페르가몬 박물관으로 향합니다. 다음편을 기대해 주세요 ` ^^;;
이 장소를 Daum지도에서 확인해보세요.
유럽 독일 | 베를린
'독일(Germa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전을 통째로 집어삼킨 페르가몬박물관 (Pergamon Museum)을 아시나요? (2) | 2012.05.20 |
---|---|
하이델베르크에서 베를린으로... (0) | 2012.05.20 |
베를린 이제 안녕~ 베를린 대성당 (Berliner Dom)과 암페르만 갤러리 숍 (Ampelmann Galerie Shop) (0) | 2007.12.06 |
베를린 3일째 - 브란덴부르크 문(Brandenburger Tor), 제국의회의사당 (Reichstag) 그리고 유럽의 유대인 학살 기억 조형물 (The Memorial to the Murdered Jews of Europe) (7) | 2007.11.22 |
호텔처럼 깨끗한 베를린 호스텔 baxpax (0) | 2007.11.14 |
밤의 베를린... (2) | 2007.11.07 |
베를린 2일차~ 낮 구경... (0) | 2007.11.05 |
베를린 밤거리~ (0) | 2007.10.12 |
올때마다 느끼는 건데요. 사진 참 잘찍으셔요. 전 요즘 슬럼프에요. 그림도 안 그려지고 사진도 안찍히는데다가 글도 침체네요. 그리구요 개미님. 영양가 없는 댓글은요 개미님 같은 아니랍니다. 이유없이 이름도 안밝히고 제대로 읽지도 않고서 무작정 비방하고, 낚시네 어쩌네 이럼서 글 난도질 해대는 도적글이 영양가 없는 댓글이에요. 개미님의 댓글은 제게 도움이 많이 된답니다. 찔리는 것도 많고, 배울 것도 많구요. 생각하게 해주는 댓글이에요. 앞으로 자주 교류하고 지내면 좋겠네요.
이제 슬슬 블로그에 적응이 되면(제가 많이 초보라서요) 영어블로그도 열려고 생각중이에요.
우리 나랄 좀 알려보고 싶어서 말이죠 헤헤..여튼 이 야밤에(여긴 밤 한시 사십분) 술도 안먹었음서 횡설수설하는 바다였네용..그럼 이만 총총
담에 또 뵈여
Reply:
개미탐험가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아 별말씀을요 ~ ^^;; 저도 많이 부족한데요. ^^;; 영어 블로그 하신다니 나중에 많이 배워야겠어요. 저도 영어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은데, 영어로 계속 글을 쓰는 것이 생각보다는 어려운거 같아요. ^^;;
그럼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
사진이 참 선명하고 멋지네요.
그런데 디카는 아무래도 필카만큼은.. ^^;;
싸구려 필카도 왠만한 디카보다 사진이 잘 나와요..
근데 사진이 만아서 그런지 로딩이 너무 느리네요ㅜㅜ
Reply:
개미탐험가 address modify / delete reply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도 필카로 찍은 사진의 느낌을 더 좋아해요~ 그리고 필름 사진은 후보정 걱정 안해도 되구요 ~ ^^;;
여행가서 많이 찍어올 욕심에 디카를 가져갔었는데, 담에 여유되면 필카도 같이 가져가려구요 ~ ^^;
그리고 사진 좀 많아서 느려진 것 고쳐봐야겠네요 ~ ^^
왜곡된 국사, 세계사를 바로 알리는 카페
우리 인류는 오래전부터 역사를 기록하며 살아왔다.
그리하여 수십, 아니 수백 수천 그보다도 훨씬 더 많은 역사 자료들이 있다. 그렇지만 그 중에는 사실과 거짓이 들어있다.
역사에는 기본원칙이 4가지정도 있다.
1. 역사는 승자가 기록하며,
2. 역사는 역사가의 양심에 달렸으며,
3. 역사는 주관적인 생각이자 입장, 느낌이고,
4. 역사는 정확한 역사 기록이 아닌, 소문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역사가 또한 3종류로 분류된다.
1. 거짓말하는 사람
2. 잘못 알고 있는 사람
3. 알지 못하는 사람
우리 역사에는 수 없이 많은 날조, 과장, 왜곡이 되어있다.
국사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세계사 지식조차 거짓으로 꽉 차있다.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이기 때문에 국사 왜곡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는 정보화 시대이므로 세상을 넓게 바라보아야 한다. 포털 사이트 중에는 왜곡된 국사를 밝히는 카페는 수 없이 많다. 물론 그 일이 잘못된 일은 아니다만,
우리 카페는 국사, 세계사 둘다 동시에 왜곡, 날조된 역사를 재평가 재조사하는 곳이다.
노예해방자라고 알려져 있는 링컨, 비폭력 평화주의라고 알려진 간디, 루이 14세의 "짐이 곧 국가다", 바스티유 감옥, 히틀러, 루즈벨트, 카이사르의 명언, 우리가 자주 보는 세계지도... 등등 수 없이 많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역사에 대해 숨겨진 진실을 말하며, 알리려 한다.
http://cafe.naver.com/nazzis - 승전국이기 때문에 파묻히고 날조, 왜곡 과장된 역사를 전 세계에 바로 알리는 카페
덧글 감사합니다. ^^